내전근(Adductor muscle)은 허벅지 안쪽에 위치한 중요한 근육 그룹으로, 걷기, 달리기, 자세 유지 등 일상적인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많은 사람들이 겪는 내전근 통증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이를 예방하고 강화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내전근 위치 어디에 있을까?
내전근은 골반과 허벅지를 연결하는 안쪽 허벅지의 근육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리를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내전근의 해부학적 위치
내전근은 골반의 치골(pubic bone)에서 시작되어 넙다리뼈(femur)의 안쪽에 부착됩니다. 대표적인 내전근에는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
- 대내전근 (Adductor Magnus): 가장 크고 깊숙이 위치한 근육으로, 넓은 부위에 걸쳐 뻗어 있으며 고관절 신전도 일부 담당합니다.
- 장내전근 (Adductor Longus): 얇고 긴 구조를 가지며, 대내전근보다 앞쪽에 위치합니다.
- 단내전근 (Adductor Brevis): 장내전근보다 짧고 깊은 위치에 있는 근육입니다.
- 박근 (Gracilis): 가장 안쪽에 위치한 얇고 긴 근육으로, 무릎 아래 정강이까지 연결됩니다.
- 치골근 (Pectineus): 짧고 넓적한 형태로, 고관절 굴곡을 보조합니다.
내전근의 주요 기능은?
내전근은 단순히 다리를 모으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우리 몸의 균형을 잡고 고관절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고관절 내전과 신체 안정성
내전근의 주된 기능은 고관절 내전, 즉 다리를 몸 중심으로 모으는 동작입니다. 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보조 기능을 수행합니다.
- 고관절의 안정성 유지
- 보행 및 달리기 시 골반 균형 조절
- 고관절 굴곡 및 신전 보조 (특히 대내전근과 치골근)
- 하체 근력의 균형 유지
운동 선수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내전근의 기능은 매우 중요하며, 약해질 경우 통증이나 자세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내전근 강화 운동으로 부상 예방하자
강한 내전근은 부상 예방뿐 아니라 운동 수행 능력 향상에도 도움을 줍니다. 간단한 동작으로도 내전근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습니다.
추천 내전근 강화 운동
- 와이드 스쿼트 (Sumo Squat)
발을 어깨보다 넓게 벌리고, 무릎이 발끝 방향으로 나가게 하여 앉는 동작입니다. 내전근에 자극이 집중됩니다. - 사이드 레그 레이즈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위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작으로, 내전근과 외측 둔근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습니다. - 볼 스퀴즈
무릎 사이에 공이나 쿠션을 끼우고 조이는 동작으로, 내전근 활성화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 어덕션 머신 사용
헬스장에 비치된 내전근 전용 머신을 이용해 고중량, 반복 운동으로 집중 단련할 수 있습니다. - 플랭크 레그 리프트 변형
플랭크 자세에서 한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작으로, 중심 근육과 함께 내전근도 강화됩니다.
이러한 운동은 일주일에 2~3회 정도 규칙적으로 실시하면 내전근의 기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내전근 통증, 왜 생길까?
운동 중 혹은 일상생활에서 갑작스러운 통증이 허벅지 안쪽에서 느껴졌다면, 내전근 문제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원인이 존재하므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전근 통증의 주요 원인
- 과사용 또는 무리한 스트레칭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이나 과도한 스트레칭으로 인해 내전근에 미세한 손상이 생기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근육 좌상(염좌)
흔히 말하는 근육이 찢어지는 증상으로, 격렬한 운동 중 발생하기 쉽습니다. 통증과 함께 멍이나 부종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 고관절 문제와의 연관
고관절 충돌 증후군, 관절염, 연골 손상 등으로 인해 내전근이 긴장하거나 보상 작용을 하면서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허리 디스크에 의한 신경통
요추 부위에서 신경이 눌리면 허벅지 안쪽까지 방사되는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내전근 주변 통증으로 오인되기도 합니다.
당뇨병과 내전근의 연관성은?
당뇨병이 직접적으로 내전근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당뇨로 인해 발생하는 2차 증상들이 내전근 통증이나 약화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당뇨병이 내전근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 혈액 순환 장애
고혈당으로 인한 말초 혈관 손상은 근육으로의 산소와 영양 공급을 방해하여 근육 피로와 회복 지연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말초신경 손상으로 인해 허벅지 안쪽까지 저림, 감각 저하, 이상 감각 등이 나타나면서 내전근 통증과 혼동될 수 있습니다. - 근육 약화
장기간 혈당 조절이 안 될 경우 근육량이 감소하고 내전근을 포함한 하체 근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라면 하체 근력 유지와 혈당 관리를 병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전근 파열이란?
내전근 파열은 일반적으로 격한 스포츠 활동이나 과도한 외력이 가해질 때 발생합니다. 특히 축구, 농구, 스프린트 등에서 자주 나타납니다.
내전근 파열의 증상과 특징
- 갑작스러운 찢어지는 느낌의 통증
빠른 방향 전환이나 점프 착지 시 갑작스럽게 심한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 허벅지 안쪽의 멍과 붓기
근육 내 출혈로 인해 멍이 들고 부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 걸을 때 다리를 모으기 어려움
내전근 기능 상실로 인해 일상적인 걸음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근력 약화
다리를 중심선으로 모으는 힘이 현저히 감소하며, 운동 수행 능력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내전근 파열은 경증의 미세 손상부터 완전 파열까지 다양하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특히 운동 선수나 활동량이 많은 사람은 초기 증상이 작더라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내전근은 단순히 허벅지 안쪽 근육이 아닌, 고관절과 하체의 안정성과 밀접하게 연관된 중요한 부위입니다.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으로 내전근을 관리하고, 평소 이상 증상이 느껴질 경우 방치하지 않는 것이 하체 건강 유지의 핵심입니다.